정의
안구건조증은 눈물막의 불안정한 상태로 안구 표층에 분포하는 눈물의 양의 감소나 질의 저하로 안구표면의 윤활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는 안과 질환으로 수분 부족형(눈물 생성 부족), 수분 증발형(눈물막 증발 증가), 혼합형으로 분류되는데요
최근 들어 장기간 동안 방치된 건성안증후군이 만성 염증으로 악화되거나 눈꺼풀 위생을 소홀히 한 결과 발생하는 안건염 또한 증가함에 따라 남녀노소 관계없이 아주 흔하게 볼 수 있는 질환이 되었는데요
눈물막
눈 표면에는 아주 미세한 두께의 보이지 않는 눈물막이 있고 눈의 보호막 역할을 하는데요
눈을 깜빡일 때마다 기존 눈물막은 배출되고 눈물막이 생성돼요
눈물의 기능
- 각막과 결막을 촉촉하고 부드럽게 해 주어 눈꺼풀과의 마찰을 줄여줌
- 노폐물, 이물질의 세척 및 외부 세균으로부터 항균 작용
- 각막에 산소와 영양분 공급
원인
안구건조증 주된 원인은 안구 표면의 염증 발생으로 안 질환, 감염, 면역 관련 질환 및 환경적인 원인(건조한 환경, 잦은 바람 및 공기 오염원 노출, 극단의 추위)등으로 인해 발병하게 되는데요
- 장시간의 콘택트 렌즈 착용
- 만성 피로 및 스트레스
- 비타민A 결핍
- 안구질환 관련 수술을 받은 경우
- 감각 신경의 이상을 동반하는 섬유근육통이 발생한 경우
- 안면 마비 혹은 뇌 질환으로 눈꺼풀이 감을 수 없는 경우
- 미세먼지, 황사 등 공기 오염
- 과도한 스마트폰 및 컴퓨터 사용
- 전신 질환으로 인해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 안약에 첨가되는 보전제
- 편두통
- 파킨슨병
- 노화
- 류마티스정 관절염, 쇼그렌 증후군 등의 동반 질환
증상
- 아무 이유 없이 자주 충혈된다
- 자고 일어날 때 눈을 뜨기가 힘들다
- 눈이 너무 피로하다
- 바람이 불면 오히려 눈물이 더 쏟아진다
- 눈이 뻑뻑하다
- 눈이 모래알이 들어간 듯한 이물감이 있다
- 눈부심이 있다
- 눈이 아프다
가장 흔한 증상은 안구 통증을 들 수 있는데요
이러한 안구 통증은 눈부심, 이물감, 건조함, 따가움 등으로 나타나며 이는 종종 바람, 빛, 차가운 날씨 등에 의해 더 유발될 수 있어요
심한 경우 톡 쏘거나 타는 듯한 작열감, 날카롭고나 둔한 통증을 느낄 수 있어요
관리와 치료
인공눈물 점안 치료
안구건조증의 근본적인 치료는 눈물의 양 및 질을 향상하기 위해 인공눈물을 자주 점안하는 것인데요
인공눈물은 종류 및 성분이 다양하기 때문에 여러 거지를 점안해 보고 본인에게 가장 편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인공눈물로 부족할 경우 혈청 안약(본인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 성분만 따로 분류하여 제조)을 제조하여 점안하는 경우도 있으나 감염 관련하여 안약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해요
눈꺼풀질환에 대한 관리
눈물의 기름 성분을 구성하는 메이봄샘이 위치하는 눈꺼풀을 깨끗이 유지하는 것은 안구건조증 치료에 큰 도움이 되는데요
이를 위해 매일 꾸준하게 눈꺼풀을 온찜질해주는 것이 중요한데요
온찜질을 한 후에는 눈꺼풀 청결제로 눈꺼풀을 닦아주는 것은 눈꺼풀 주변의 박테리아 양을 줄이고 메이봄샘의 분비를 더욱 원활하게 하며 눈꺼풀 주변의 염증을 가라앉힘으로 건성암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어요
이외에도 실내 적정 습도를 유지하고 찬 바람이나 공기 오염원에 노출이 잦은 경우 보안경을 착용을 권유하며 과도한 스마트폰 및 컴퓨터 사용은 눈 깜빡임 횟수를 줄여 건조증을 더 악화시키므로 장시간 이용을 줄이고 중간중간 휴식을 취하는 게 좋아요
생활 습관 개선
- 선풍기, 에어컨, 온풍기 등의 바람을 직접 쐬지 않기
- 눈을 자주 깜빡이기
- 실내가 건조하다면 가습기 등을 이용해 적정 습도 유지하기
- 충분한 수분 섭취
- TV, 컴퓨터,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을 줄이기
- 콘택트렌즈보다는 안경을 착용하기
- 눈 주위 마사지 및 온찜질하기
어떻게 도움과 이해가 되셨나요?
우리가 생활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신체 기간 중 하나가 눈인데요
불편한 점이 생기게 되면 삶의 질이 떨어질 거라 생각이 드는데요
그만큼 안구건조증에 대해 알고 관리하고 예방한다면 조금은 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우리 모두 건강하고 행복하였으면 좋겠어요
다음 시간에도 더 건강하고 알찬 정보로 찾아뵐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집밥건강 질병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상선암 증상 및 발병요인 그리고 수술 치료 후 전이 재발방지 (41) | 2023.01.03 |
---|---|
역류성 식도염 증상 및 원인 그리고 치료와 예방법 (44) | 2023.01.02 |
남성갱년기 증후군 증상 및 원인 그리고 자가진단 검사와 치료법 (41) | 2022.12.31 |
갱년기(폐경기)증후군 나이 및 증상 그리고 치료와 극복 방법 (33) | 2022.12.29 |
다낭성난소증후군 생리불순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진단 및 치료방법 (84) | 2022.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