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면 기초대사량이 떨어지면서 점점 배가 나오고 살이 찌고 과체중을 넘어 비만으로 가는 경우가 있는데요
하지만 비만은 스트레스와 더불어 모든 질병에 근원이 되는데요
우리가 조금 더 건강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몸을 유지하는게 중요해요
그럼 오늘은 비만에 대해 알아보고 더 나은 삶을 위한 방법을 찾아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할게요
비만의 기준
몸 안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를 말해요
보통 체중이 많이 나가면 비만이라고 생각하지만 비만이 아니어도 근육이 많은 사람은 체중이 많이 나갈 수 있기 때문에 신체비만지수(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를 측정하여 여부를 판단해요
MBI 계산법
체중(kg) ÷ 신장(m)² = 신체비만지수(BMI)
BMI를 통한 기준
성인의 기준은 체질량지수 25kg/m²
-1단계 : 25.0kg/m² ~ 29.9kg/m²
-2단계 : 30.0kg/m² ~ 34.9kg/m²
-3단계(고도 비만) : 35.0kg/m² 이상
허리둘레를 통한 기준
-남성 : 90cm 이상
-여성 : 85cm 이상
비만의 유병률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 유병률은 2017년 34.1%이며 2005젼부터 30%를 초과한 이후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어요
특히 남성의 경우 2017년 41.6%이며 1998년 이후 지속해서 증가하여 2016년부터 40%를 초과하였고 여성의 경우 2017년 25.6%이며 1998년 이후 23~28%를 유지하고 있어요
비만이 위험한 이유
체질량지수가 높아질수록 제2형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관상동맥질환 등 대사 이상에 의한 질환의 발병을 높이고 골관절염, 수면무호흡증과 같이 과도한 체중에 의한 질환을 동반할 위험이 커져요
또한, 유방암과 대장암, 간암, 신장암 등의 위험 증가와도 관련이 있어 비만을 질병으로 간주하고 치료해야만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가 있어요
비만의 위험은 흔히 5D로 표현
부정적 신체 이미지 (disfigurement)
불편 (discomfort)
장애 (disability)
질병 (disease)
사망 (death)
치료
생활 습관 교정
총열량 섭취를 줄이기 위한 식사량 조절하고 유산소 운동 및 근력, 유연성 운동 등을 통해 칼로리 소모
약물 치료
식사 및 운동 요법으로 체중 감량에 실패했을 대 보조적인 약물 치료를 시도
수술적 치료
고도 비만의 환자의 체중감량과 감량한 체중 유지에는 수술적 치료가 가장 효과적이에요
때문에 고도비만 환자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권고됩니다
기본적으로 생활습관 교정이 우선되어야 안전한 체중 감소화 체중 유지가 가능해요
하지만 식사요법 운동치료만으로 체중을 감량하는데 한계가 있는 경우 또는 비만의 정도가 심하거나 비만에 관련된 질환의 위험이 큰 경우에는 약물 요법, 수술 요법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어요
비만 대사 수술의 종류
위소매 절제술
위의 일부분을 절제해 위의 용적을 줄임으로써 음식의 섭취를 줄임
조절형 위밴드 삽입술
실리콘 밴드를 이용해 위의 용적을 줄여 음식의 섭취를 줄임
루와이 위우회술
음식의 통로를 우회시켜 섭취를 일부 제한하면서 영양소의 흡수를 제한함
비만 대사 수술 요양 급여 적용
2019년 1월부터는 비만 대사 수술의 요양 급여가 적용돼 기존의 내과적 치료와 생활습관 개선으로 치료되지 않거나 비용문제로 치료를 미뤄왔던 고도 비만 환자가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어요
비만 대사 수술 요양 급여적용 대상
1. 체질지량지수 35kg/m² 이상인 고도 비만
2. 체질지량지수 30kg/m² 이상이면서 대사와 관련된 합병증을 동반한 경우
-고혈압, 수면무호흡증, 관절질환, 위식도역류, 제2형당뇨, 고지혈증, 천식 등
3. 체질량지수 27.5kg/m² 이상인 제 2형 당뇨환자
-위소매절제술 및 루와이 위우회술을 시행하는 경우
수술의 효과
1. 삶의 질 향상
자기 초과 체중의 60~80%는 감량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120kg인 사람의 이상 체중이 70kg일 때 초과 체중 50kg의 60~80%인 30~40kg을 수술 후 1~2년에 걸쳐 감량할 수 있어요 극적인 체중 감소는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집니다
2. 사망률 감소
비만에 따른 사망률이 30%정도 감소해요
특히, 심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률 50~60% 당뇨병 관련 사망률 85% 암 관련 사망률은 46% 감소해요
3. 동반질환 개선
비만으로 인해 발생한 동반 질환의 96%가 없어지거나 개선이 됐어요
당뇨병 환자의 85%는 약물 투여 없이 정상 혈당을 유지 했으며 고혈압 환자의 60~70%에서도 혈압을 조절할 수 있게 되었어요
어떻게 도움과 이해가 되셨나요?
비만은 치료를 해야하는 질병인 점을 잊지 마시고 자신이 위에 상황에 해당된다면 꼭 병원에 들러 치료를 하셔야만 본인의 몸을 건강하게 챙길 수 있으며 삶의 수준을 높일 수 있으므로 우리 모두 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았으면 좋겠어요
다음 시간에도 더 알차고 건강한 정보로 찾아뵐게요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집밥건강 질병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낭성난소증후군 생리불순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진단 및 치료방법 (84) | 2022.12.28 |
---|---|
협심증 증상 및 원인 그리고 진단 후 치료방법 (26) | 2022.12.27 |
고혈압을 낮추는 자가 관리 방법과 좋은 음식에 대하여 (30) | 2022.12.25 |
고혈압 증상 및 진단 기준 그리고 치료제 약물과 발기부전의 연관성 (19) | 2022.12.24 |
삼차신경통 증상 및 원인 약물 수술적 치료 (38) | 2022.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