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검진을 받으면 기본적으로 혈압을 측정하는데요
건강의 기준이 되기 때문인데요
정상 혈압보다 높으면 고혈압 낮으면 저혈압인데요
혈압은 우리 몸에 여러 질환가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항상 주의와 관심을 필요한데요
오늘 이 시간은 심뇌혈관 질환에 가장 밀접한 위험 요인인 고혈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할게요
정의와 기준
![](https://blog.kakaocdn.net/dn/ba1MAo/btrUujEYySW/AOt4teE6mj1k3hOHp9KOWk/img.png)
- 일반적으로 혈압은 동맥 혈압을 의미
- 동맥 혈압이 정상보다 높아진 상태
- 현재 우리나라 기준으로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인 경우
-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인 경우
수축기 혈압 : 심장이 수축할 때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
이완기 혈압 : 심장이 확장할 때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
증상
![](https://blog.kakaocdn.net/dn/Qxmdj/btrUxebNEJ4/ZjnW4F3OL35uMKw7MzBMG1/img.png)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는 다르게 혈압 상승과 관련된 특이한 증상이 없으며 중증 고혈압의 경우에는 뒤통수 부위에 국한된 두통이 나타나고 심뇌혈관 질환 증상이 발현될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해요
혈뇨, 시야 흐림, 구통, 뇌허혈에 의한 어지럼증, 의식 저하, 협심증에 의한 흉통, 심부전에 의한 호흡곤란
진단
![](https://blog.kakaocdn.net/dn/lflII/btrUwoMtvuM/846x4wKkwmRaeFEZWSXEbK/img.png)
- 정확하게 혈압을 측정하는데에서 시작
- 허리를 편 바른 자세로 앉아서 충분한 안정 후 자극이 없는 환경에서 2회 이상 반복 측정 후 진단
- 기본 검사는 진단 시점 그 이후 1년마다 시행
- 심뇌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와 같이 평가
아래의 기준은 심뇌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이 가장 낮은 최적 혈압을 표시
![](https://blog.kakaocdn.net/dn/rc2DK/btrUug9g7OU/n2FS27vHZU7520KBulkMpk/img.png)
치료
![](https://blog.kakaocdn.net/dn/bcxYQY/btrUuz17Van/OMmGxO1lvXs2WMiD84zbx0/img.jpg)
혈압조절을 통해 심뇌혈관 질환 및 사망률을 낮추는 데 있으며 일반적으로 치료의 목표는 140/90mmHg 미만으로 조절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어요
약물치료
- 환자의 혈압, 심뇌혈관 질환의 위험도, 동반 질환에 따라 선택
- 모든 약제마다 특징적인 부작용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
- 부작용의 방지를 위해 1가지 약물은 저용량으로 시작하도록 권고
2기 이상 고위험군에 진행된 고혈압에 경우
처음부터 2가지 이상 약물을 병용 가능
치료제 약물 종류
치료제는 대표적으로 ARB, CCB가 양대 산맥으로 가장 많이 쓰이며 이뇨제, 베타 차단제가 있어요
1. ARB (안지오텐신 차단제)
콩팥에 있는 레닌-안지오텐신 알로스테론 축에 작용해 혈압을 낮춤
2. CCB(칼슘억제제)
혈관 확장 효과가 있어 관상동맥이 좁아지는 협심증이 있는 환자에게 효과 적이다
3. 이뇨제
신장에서 나트륨, 수분의 재흡수를 억제하고 배설을 촉진함으로써 체액량 자체를 감소시켜 혈압을 떨어뜨린다
4. 베타 차단제
협심증, 심근경색, 빈맥성 부정맥이 있을 때 권고 할 수 있다
발기부전과의 연관성
![](https://blog.kakaocdn.net/dn/bcMsx9/btrUujdTRg3/fAK5chq7aTZdf3BLpw69Z0/img.png)
학회에 따르면 베타 차단제와 이뇨제는 발기부전에 영향이 있으면 ARB는 발기부전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CCB는 중립으로 발기부전에 어느쪽이든 영향을 주지 않는 걸로 보고 되고 있어요
베타차단제
발기부전과 관련된 신경까지 억제가 되면서 3% 정도 영향
이뇨제
원리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는데 혈액량 감소> 혈압강하> 음경동맥 혈류감소> 발기부전으로 추측하고 있다
어떻게 도움과 이해가 되셨나요?
심뇌혈관 질환에 상당한 위험요인 고혈압을 제대로 알고 예방한다면 조금 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다음 시간은 이어서 자기 관리와 생활 습관 등에 알차고 건강한 정보로 다시 찾아뵐게요
우리 모두 다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집밥건강 질병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도 비만은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에요 치료 예방법과 기준이 되는 BMI 또는 비만도계산기 (68) | 2022.12.26 |
---|---|
고혈압을 낮추는 자가 관리 방법과 좋은 음식에 대하여 (30) | 2022.12.25 |
삼차신경통 증상 및 원인 약물 수술적 치료 (38) | 2022.12.23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증상과 매년 유행하는 이유 (17) | 2022.12.22 |
턱관절(악관절) 내장증 질환 원인 및 증상 진단 후 치료 (20) | 2022.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