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에서 주변이 빙글빙글 돌아가는 듯한
심한 어지러움이 지속되거나 좋아지는
반복을 느낀 적은 없으셨나요
어지러움증에 원인은 다양하겠지만
오늘은 이비인후과적 원인으로 일어난
이석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이석증이란?
이석증의 정의를 내리기 전에 귀에 구조를
알아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고막을 중심으로 바깥은 외이이고
안쪽으로 중이입니다
또 중이에 옆에 위치한 구조를 내이라고 합니다
내이에는 달팽이관과 진정 기관으로 나뉩니다
역할
달팽이관 -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기관
진정 기관 - 몸의 평형을 담당하는 기관
진정 기관에는 세 개에 반고리관이 있는데
3차원적 위치를 측정하여 정보를 전달해줍니다
세반고리관 앞에 있는 초록색 부분이 이석 기관입니다
이석 기관의 역할 - 작은 세포 위에 아주 작은 칼슘 조직으로 우리의 몸이 좌우로 기울 때 중심을 잡아 주는 역할
이석이 제자리를 이탈하여 옆에 위치한
반고리관으로 들어가는 것을 이석증이라고 합니다
주요 증상
몸의 평형기관에 이상으로
몸의 균형을 잘 잡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며
경미한 어지러움증에서부터
극심한 어지러움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며 대부분 1분 이내에 진정이 됩니다
또한 어지러움증으로 인한 구토도 발생합니다
원인
이석이 떨어져 나오는 이유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외부 충격, 노화로 인한
골밀도 감소, 바이러스 감염, 약물의 부작용 등으로
이석증이 유발되기도 합니다
검사 및 치료
이석증은 이석이 세반 고리관 어느 부위에
들어갔는지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비디오 안진 검사를 통해 이석에 위치를 파악합니다
비디오 안진 검사
고글 모양의 큰 안경을 쓰고 하는 검사로 자세 변화에 따른 눈 움직(안진)을 영상으로 확인하고 이석의 위치 파악
이석의 위치를 파악한 후에는 제자리로
돌려놓는 치료를 시행하면 호전됩니다
또한 이석의 크기는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림프액 속에 높기 때문에
수주 내에 호전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방법
이석을 제자리로 돌려놓았다고
안심하지 말고 치료 후 집에서
자가 운동법을 통해 이석이 나오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이석증에 대하여 도움이 되셨나요
평상시에도 일어날 수 있는 생활에 불편함이
많은 질환이므로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이빈이후과에 내원하셔서 치료를 통해 회복 후
건강한 모습을 되찾았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모두 건강하고 행복 지는 삶을
함께 했으면 좋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집밥건강 질병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목터널 증후군(수근관 증후군) 원인 및 증상과 진단 후 치료법 (37) | 2022.12.20 |
---|---|
회전근개파열 증상 및 원인 그리고 치료 후 재활 (59) | 2022.12.18 |
쯔쯔가무시병의 감염증상 및 검사 후 입원 예방법 (38) | 2022.12.14 |
간암과 밀접한 지방간 초기증상(간수치) 및 원인 그리고 치료 후 예방좋은 음식 (47) | 2022.12.13 |
비골(코뼈) 골절의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치료방법 (60) | 2022.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