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가 빠지는 탈모증을 겪게 되면 어떨까요?
상상하면 참 생각하기 싫고 어려운 일인데요
하지만 이 탈모 중에서도 원형탈모는 어떠한 이유로 면역체계에 이상이 생겨 발생할 수 있는 탈모 중에 흔한 질환중에 하나인데요
우리가 겪지 않으면 좋겠지만 혹시 모를 탈모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정의
![](https://blog.kakaocdn.net/dn/bJBDXi/btrWnodNrL8/hSKeik81IfeTs3z4MeVdZ0/img.png)
원형탈모증은 비교적 흔한 탈모 질환으로 동전 모양으로 동그랗게 모발이 빠지는 형태를 보이며 우리 몸의 모든 털을 침범할 수 있는 비흉터성 자가면역성 탈모 질환을 말하는데요
구분 및 진단
![](https://blog.kakaocdn.net/dn/vVaga/btrWsUB21hR/N2j0YYtkXFkPDYEgmSQHRk/img.png)
일반 탈모와 구별하는 수 있는 방법은 탈모 부위와 탈모 아닌 부위가 명확하게 동그랗게 표시가 나타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두피 색깔이 약간 붉은빛을 띠면서 광이 나는 듯 반질거리는 느낌이 나는데요
이런 것을 구분하여 원형 탈모로 진단하게 돼요
원인
자가면역이상이 가장 큰 원인이며 유전적 소인 이외에도 여러 환경 인자들이 원인이 된다고 해요
![](https://blog.kakaocdn.net/dn/bSy7YL/btrWqPBF79X/Zpxp2Vlhr6KsBRrGwXXYT0/img.png)
자가 면역 이상
우리 몸에는 T세포라고 면역세포가 만성 염증이나 다른 원인으로 인해서 과도하게 활동하게 되면서 모낭을 외부 물질로 인식하여 자기 조직을 공격하면서 모발들이 자라지 못하고 빠져 버리게 되는데요
또한 환자의 10% 정도에서는 갑상샘 질환, 악성 빈혈, 아토피 루푸스 등에 자가면역질환들을 동반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해요
유전적 소인
현재까지는 정확하게 유전자의 이상은 밝혀내지는 못하였지만 환자의 20~30%가 가족력을 갖고 있으며 그런 점으로 미루어 유전적인 소인이 작용함을 짐작할 수 있는데요
환경 인자
실제로 탈모 발생 전 6개월 이내의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있다고 보고 되고 있으며 환자의 약 20% 내외에서는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다고 하는데요
그 외에도 바이러스 감염이나 신경 물질의 이상 등도 탈모와 관련 있다고 보고 되고 있어요
증상
![](https://blog.kakaocdn.net/dn/ErzAx/btrWkuMmT6x/7fGMRi0eMZVifzKtnnUjMk/img.png)
- 경계가 명확한 다양한 크기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탈모반이 한두 개 나타나는 것이 가장 큰 특징
- 탈모가 발생한 부분은 두피가 빛나거나 붉은빛을 띰
- 부러진 모발들이 관찰되며 두피의 어느 부분이나 발생
- 턱수염, 겨드랑이, 눈썹, 체모 등 모든 털 부위에 발생
구분
![](https://blog.kakaocdn.net/dn/b7OJY3/btrWpnFHj8h/3lIgZ5OCUKk0354KFEGca1/img.png)
탈모의 정도와 양상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되는데요
- 한 개의 탈모반을 갖는 경우
- 여러 개의 탈모반을 갖는 경우
- 완전한 모발 소실(전두 탈모, 전신 탈모)
치료
![](https://blog.kakaocdn.net/dn/cNHqBl/btrWppKiS6P/pKDgqkgHBPh0zFE8diGn3K/img.png)
충분하게 수면을 취하고 건강한 식사를 하며 스트레스를 피하게 되면 보통 80% 정도에서는 특별한 치료가 없어도 좋아지게 되는데요
전반적으로 좋아질 수 있는 예후가 비교적 좋은 질환이며 재발 또한 잘 되는 편인데요
하지만 전두 탈모, 전신 탈모와 같이 범위가 넓고 사춘기 이전에 발생하였거나 탈모반이 한 개가 아닌 여러 개일 경우, 탈모가 오래 진행된 경우에는 회복지도 않고 남을 수가 있고 심하게 되면 전두탈모, 전신탈모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하셔야 하는데요
증상이 나타났을 경우 전문의와 상의하셔서 치료를 하시는 게 좋은데요
![](https://blog.kakaocdn.net/dn/cLhLVc/btrWq28GJpU/bNFIjy50ygjpvqfC6IoH9K/img.png)
원형 탈모 치료법은 다양하며 치료법의 결정은 환자의 연령과 탈모의 정도에 따라 정해지며 스테로이드 치료, 기타 면역조절제, 면역치료, 기타 치료를 시행하게돼요
스테로이드
강력한 면역 반응 및 염증 억제제인데요
원형 탈모에서 흔히 사용되며 국소도포, 병변 내 주사, 약제 복용 등 다양하게 시행되는데요
국소도포
-스테로이드 치료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며 젊은 연령이나 탈모 부위가 적거나 부작용등으로 인해 다른 치료가 어려울 경우 시행
![](https://blog.kakaocdn.net/dn/5TkVO/btrWpoq4RQM/8lpl7mC988KorKxePvwu3k/img.png)
스테로이드 주사
-탈모반이 많지 않을 경우 병변 주위에 직접 주사하는 방법으로 효과는 우수하나 자주 주사할 경우 두피의 위축 등에 부작용이 있음
스테로이드 복용
-탈모 범위가 넓거나 도포제로 회복되지 않는 경우 시행
기타 면역조절제
아토피 피부염에 치료제인 타크로리무스, 피메크로리무스, 싸이클로스포린과 같은 면역 반응 조절제를 사용
스테로이드에 비해 면역 및 염증 억제 작용은 약하나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음
![](https://blog.kakaocdn.net/dn/4Yzst/btrWppcrKgl/EtIHsYRqXsOVlD9KKXuqV1/img.png)
면역치료
탈모반이 넓거나 부작용 등 여러 이유로 인해 복용약을 사용하기 어려울 때 시행되며 강력한 알레르겐을 두피에 도포하여 알레르기 접촉피부염을 유발하는 치료 방법
면역치료에 의하여 접촉피부염이 발생하면 모낭 주위에 새로운 염증 반응이 발생하여 기존의 모낭의 성장을 억제하던 인자들의 영향을 희석시켜 모발이 성장하는 것으로 이해
기타 치료
발모제인 미녹시딜 도포나 국소 광선 치료 등의 방법들이 시행
자가진단
![](https://blog.kakaocdn.net/dn/sCCUz/btrWopcHBIT/z35nniQvMwm1uuFfmQXvQk/img.png)
- 가족 중 원형탈모나 자가면역질환 환자가 있다
- 탈모 부위의 경계가 명확하다
- 탈모 부위가 붉거나 각질이 없다
- 탈모가 진행할 때 가려움이나 통증이 없다
- 머리를 뽑는 습관이 없다
- 눈썹, 속눈썹, 체모에도 탈모반이 발생한다
- 젊은 여성인데 갑자기 탈모가 많이 생긴다
- 흰머리는 빠지지 않고 검은 머리가 빠진다
위에 증상이 2~3개 이상이면 질환을 의심되면 병원에 내원하시는 게 좋아요
진료과
피부과
어떻게 도움과 이해가 되셨나요?
탈모가 생기게 되면 외모에 신경 쓰이게 되고 그로 인해 생활하는데 위축이 될 수 있는데요
치료가 가능한 면역질환이기 때문에 증상이 보이기 시작하면 방치하지 마시고 빠른 시일 내에 치료를 하셔서 전두탈모랑 전신탈모까지 진행되지 않도록 해야 해요
우리 모두 건강하고 행복하게 사는 그날까지 더 알차고 건강한 정보로 찾아뵐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집밥건강 질병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레르기 비염 증상 및 원인 그리고 치료 방법 (47) | 2023.01.20 |
---|---|
심부전증 증상 및 원인과 치료방법 (23) | 2023.01.18 |
기관지 확장증 증상 및 치료로 편하게 숨셔요 (17) | 2023.01.16 |
A형 독감 전염 증상 및 격리와 타미플루 치료에 부작용 및 복용 시간 (30) | 2023.01.14 |
신장암 증상과 1기 및 3기 전이 부위에 따른 수술 방법 (32) | 2023.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