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밥건강 질병 스토리

황반 변성의 증상및 원인과 자가 진단(암슬러 격자)후 치료

집밥건강 2022. 12. 21. 09:26

우리 신체기관 중 가장 많은 역할을 담당하는
눈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신체 기관 중 하나인데요
하지만 너무나 소중한 눈을 흡연 때문에
잃을 수 있다고 한다면 믿으시겠습니까
오늘은 눈에 생기는 질환 중 흡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황반변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황반 변성이란?

먼저 황반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는데요
망막의 한가운데 중심부에는 약 1.5mm 정도
함몰되어 있고 다른 부위보다 어둡게 보이는 곳
말하며 이곳에는 시각 세포들이 밀집되어 있습니다

노화로 인해 망막 세포의 찌꺼기를 배출하는
능력을 잃고 시각 세포들이 빛과 색을 감지하는
기능을 잃으면서 흉터 같은 조직이 침착이 되면서
시력이 저하되는 과정을 황반 변성이라 하며
세포 대사로 생긴 황갈색의 동그란 침착물인
드루젠이 주변에 침착되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드루젠이 쌓이고 커지게 되면 나타나는 현상
점차 황반 기능의 소실
조직의 위축과 균열로 인해 좋지 않은 신생 혈관이 발생
건성 황반 변성
초, 중기에 발병하며 비정상적인
신생혈관으로 고인 피와 물 없이
드루젠과 조직이 위축만 하고 있는 경우

습성 황반 변성
후기에 발병하며 피와 물이 고이고
시력이 떨어지는 경우


증상
  • 중심 시야에서 보이지 않는 결손 (암점) 보임
  • 사물이 휘어져 보임


초기, 중기까지는 정상인과 시력의 차이가 없으며
후기에는 큰 시력의 저하와 실명 가능성이 있습니다
통증이 없는 이 질환은 눈이 아프지 않고 반대편
시력이 좋은 경우라면 시력이 떨어져도 늦게 인지가
되기 때문에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40대 이후에 흡연자라면 하루에 한 번씩 좌우 번갈아
테스트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원인

대표적으로 노화와 흡연을 들 수 있습니다
흡연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발병 위험이 높으며
발병 시기도 약 10년 정도 앞당겨질 수 있습니다


암슬러 격자 자가 진단법
왼쪽 눈, 오른쪽 눈을 번갈아 가면서 한쪽 눈씩 테스트를 하며
선의 중심으로 휘어져 보인다거나 부분 결손이 있다면 반드시
안과에 방문하여 검진을 하여야 합니다
초기 중기에는 암슬러 격자 테스트를 해도 별다른 변화가
없기 때문에 40세 이상 흡연자라면 한 번쯤 안과에서
황반변성 검사를 받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암슬러 격자 테스트
치료

치료를 통해 병변 자체를 없앨 수는 없습니다
초, 중기에는 눈 영양제를 복용하여
후기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 목표입니다
부득이하게 후기로 넘어갔다면 빠르게
치료하는 것이 목표이며 치료법으로는
직접 주사인데 열심히 맞아도 재발 빈도가
높은 편이며 예전의 시력으로 돌아갈 수는 없습니다
황반 변성의 최고의 치료방법은 금연입니다
금연을 통해 발병할 수 있는 원인을 최대한 줄이고
만약에 진단을 받았다면 반드시 금연을 하셔야 합니다


어떻게 조금이나마 도움과 이해가 되셨나요?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무서운 질환인 만큼
금연하셔서 오래오래 세상에 아름다운 모든 것들을
자유롭게 보고 즐겼으며 하는 바람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좀 더 알차고 좋은 정보들로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