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청년 주거비 부담을 덜기 위해 2만 5천 명에게 청년월세 지원금 월 20만 원을 지원하는데요
청년 월세 지원금을 5월 16일 (오후 6시까지) 서울 주거포털을 통해 접수를 받는다고 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금 월 20만원을 받을 수 있는 지원 대상 및 소득 기준에 대해 알아보고 청년월세 지원금 신청하는 곳에 대해 살펴볼게요
목차
1. 사업 개요
1-1. 지원 대상
1-2. 지원 금액
1-3. 신청 접수 및 선정
2. 신청 자격 요건
3. 신청 지원 제외 대상자

1. 사업개요
사업명 : 2023년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 사업
우리 나라 수도이며 인구 밀도가 가장 높고 주거비가 가장 높은 서울시에서 사회 활동을 하는 청년에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고 주거비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을 위해 시행되는 것으로 만 19세~39세 청년 2만 5천 명에게 월 20만 원, 최대 10개월 동안 지원하는 사업이라고 할 수 있어요
✔ 지원대상
신청일 기준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만 19세~39세 이하 청년 1인 가구가 대상이에요
- 주민등록상 만 19세 ~39세 이하 청년인 형제자매 및 동거인이 있는 경우에도 신청이 가능해요
- 공유주택 (쉐어하우스) 등에 거주하며 임대인과 개별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주민등록본상 동거인은 동시 지원 가능해요
- 주민등록본상 청년이 아닌 세대원이 있는 경우 사업 신청대상에서 제외
- 국토교통부 청년 월세 한시 특병지원 신청자 및 23년 은평형 청년월세 선정자는 지원 불가
✔ 지원금액
최대 10개월 200만원 까지 월 20만 원 이하 지원을 하며 생애 1회밖에 지원할 수 없어요
- 20만원 미만 월세 계약은 임대차계약서에 표기된 월세 금액만 지원
예로 들면 월세 10만 원은 월 10만 원만 지원하며 관리비가 포함된 경우는 관리비를 제외하고 월세만 지급해요
- 서울형 주택바우처 수급자인 경우, 바우처 수령액을 제외한 차액만 지급해요
※ 유관 기관과 협의가 완료되면 지원기간이 12개월로 연장될 예정이라고 해요

✔ 신청 접수 및 선정 방법
1. 접수기간
: 23. 05. 03 (수) 10:00 ~ 05.16 (화) 18:00 마감
2. 선정인원 : 25,000명
3. 선정 방법
: 임차보증금 / 월세 및 소득기준 4개 구간으로 나누어 선정하고 인원 추과시 구간별 추첨을 통해 선정할 수 있어요
- 1구간 11,250명 / 2구간 7,500명 / 3구간 3,750명 / 4구간 2,500명
4. 지급방법 : 격월 계좌 입금
- 첫 지급 : 8월 28일 예정 (4월~7월분)
- 지원대상자 최종 선정 후 자격을 확인한 후 지급하게 돼요
※ 만 34세 이하이면서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청년은 정부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사업을 통해 신청할 수 있어요
- 신청 기간 : 22.8월 ~ 23.8월 ( 약 1년간 수시 신청이 가능해요)
- 신청방법
방문 : 주민등록지 동 행정복지센텅
인터넷 : www.bokjiro.go.kr (문의 1600-0777)
2. 신청 자격 및 요건
▶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사람
✔ 주소지가 신청일 기준 서울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고 실제 거주하는 청년 1인가구에 해당
- 신청일 기준 임대차계약서상 살고 있는 건물 소재지에 주민등록 (전입신고)이 되어 있는 임차인 본인이 신청해야 해요
* 외국인, 재외국민 등은 지원대상이 아니에요
* 부모, 형제, 친구 등 타인의 명의로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경우도 신청을 할 수 없어요
✔ 연령은 만 19세 ~ 39세 이하여야 신청할 수 있어요
- 주민등록등본상 1983.1.1 ~ 2004.12.31)

✔ 거주요건은 임차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의 건물에 월세로 거주하는 무주택자여야 해요
- 계약서상 공동임차인이 있는 경우 분담액 기준 5천만원 이하 시 신청가능
- 월세 60만원 초과자 중 보증금 월세 환산액과 월세액을 합산하여 81만 원 이하인 경우 신청이 가능해요
아래 환산액 예시를 참고하여 신청 여부를 확인해 보세요
환산액 예시 (주택임대차보호법에 의거 전월세 환산율 5.25% 적용)
예시 1) 보증금 4천만 원, 월세 62만 원의 경우 총 79만으로 신청 가능
=> 보증금 월세환색액 17만 원 (4천만 원 × 5.25% ÷ 12개월) + 월세 62만 원
예시 2) 보증금 3천만 원, 월세 70만 원의 경우 총 83만 원으로 신청 불가
=> 보증금 월세 환산액 13만 원 (3천만 원 × 5.25% ÷ 12개월) + 월세 70만 원
* 천 원 단위는 절사함
- 주택 및 준주택 (고시원, 근린생활시설 등) 동일하게 지원 가능해요
- 보증금이 없는 월세는 신청 가능하나 월세가 없는 전세계약은 신청이 불가능해요
- 기간 합산 월세 납부 지원 가능 ( 예시 : 1년 월세 1회 선납)
- 임대차계약서상 공동임차인은 1인당 분담액으로 임차보증금, 월세액이 인정된다고 해요
단 계약서상 1건당 1명만 신청이 가능해요
(공동임차인이 동시 신청 시 모두 심사 탈락이라고 하니 주의하세요)
▶ 예시로 임대차계약서상 별도의 분담액 표기가 없는 경우 인원수로 나누어 계산
- 임대차계약서상 공동임차인 2명에 보증금 6천만 원, 월세 80만 원이라면 보증금 3천만 원, 월세 40만 원으로 신청이 가능해요

✔ 소득요건은 가구당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여야 신청할 수 있어요
- 신청인이 속한 가구의 건강보험료 부과액이 최근 3개월 23년 2월부터 4월까지 평균액이 23년 기준중위소득 150%의 건강보험료 부과액을 충족해야 해요
- 신청인의 건강보험이 건강보험 상 부모 등의 세대원으로 등록된 경우 주민등록이 별도 분리되어 있어도 부양자 부과액 기준이에요
- 건강보험료 부과액 조회가 어려운 경우 별도의 소득 증빙자료를 요청할 수 있다고 해요
< 2023년 기준 중위소득별 건강보험료 소득판정 기준표>
( 단위 : 원)
기준 중위소득 | 건강보험료 부과 가구원수 | 월 소득금액 | 건강보험료 부과액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 | |||
150% 이하 | 1인 | 3,117,000 | 111,677 | 50,654 | 112,823 |
2인 | 5,185,000 | 183,861 | 142,142 | 186,476 | |
3인 | 6,653,000 | 237,913 | 206,359 | 242,216 | |
4인 | 8,102,000 | 291,898 | 273,699 | 299,947 | |
5인 | 9,497,000 | 346,067 | 335,569 | 359,887 | |
6인 | 10,842,000 | 403,785 | 402,840 | 434,962 | |
7인 | 12,162,000 | 434,962 | 436,179 | 476,875 | |
8인 | 13,481,000 | 521,613 | 527,523 | 563,270 | |
9인 | 14,800,000 | 563,270 | 570,140 | 625,329 | |
10인 | 16,120,000 | 625,329 | 628,210 | 729,187 |
* 출처 : 보건복지부 (본인부담금은 노인장기요양보험료를 제외한 금액임)
*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 (http://www.nhis.or.kr)에서 보험료 조회 가능 문의 1577-1000
- 민원 요기요→ 개인민원 클릭→ 증명서 발급 및 확인→ 보험료납부확인서

3. 신청 지원 제외 대상자
1. 국토교통부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금 수급 중이거나 수급이력이 있는 사람
2. 서울시 청년월세지원금 기 선정자로 수습 이력이 있는 사람
3. 신청자 본인에 주택 소유자, 분양권 또는 조합원 입주권이 있는 사람
4. 신청자 본인에 일반재산 총액 1억 원을 초과하는 사람
- 토지과세표준액, 건축물과세표준액, 임차보증금, 차량시가표준액
5. 신청자 본인에 차량시간표준액이 2,500만 원 이상의 자동차를 소유한 사람
6. 국민기초생활수급을 받고 있는 사람 (생계, 의료, 주거급여 대상자)
7. 서울시 청년수당을 받고 있는 사람, 은평형 청년월세 지원자로 선정된 사람
- 사업 신청일 기준, 청년수당 수급 등 종료된 경우 신청 가능
8. 행복주택, 전세임대주택, 매입임대주택, 역세권 청년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사회적 주택, 희망하우징, 공무원임대주택 등 공공임대 주택에 거주하는 사람
- 역세권 청년주택, 사회주택 등 민간임대주택 거주자는 신청가능
9. 임대인이 신청인의 부모인 경우
10. 기타 사업 취지에 부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청년월세 지원금 신청 링크
사업개요 | 청년월세지원 | 청년·신혼부부 지원 | 주거 정책 | 서울주거포털
서울주거포털,서울에 거주하는 청년의 주거비 부담완화와 안정적 주거환경 마련을위한 서울시의 청년주거복지사업입니다. 사업개요 사업내용 사업공고문 신청하기 ※ 2023년 청년월세지원 사
housing.seoul.go.kr
지금까지 서울시 청년월제 지원금 사업에 신청 조건 및 요건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어떻게 도움과 이해가 되셨나요?
본인이 지원자에 해당된다면 주거비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우리 모두 행복하게 사는 그날까지 더 알찬 정보로 찾아뵐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집밥건강 일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치관의 변화가 주는 긍정의 힘 by 세바시 권도우 학생 (48) | 2022.11.07 |
---|---|
내면의 힘을 키우는 스텝 by 윤너스 (29) | 2022.11.02 |
손현주 작가님의 가짜 모범생 리뷰 (15) | 2022.10.27 |
역행자 도서리뷰 (44) | 2022.10.22 |
경제적 자유를 달성할 수 있는 아빠의 첫 돈 공부 리뷰 (49) | 2022.10.21 |